본문 바로가기
글로벌암호화폐시장 소식

비트코인 이더리움 암호화폐상품 기관 수요 급증-그레이스케일 큰그림

by 코뉴 2021. 9. 13.
반응형

사진출처 coinnews.tistory.com / 그레이스케일 투자 상품

- 영문 기사 출처 AMBCRYPTO-

가상화폐 시장은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또 다른 대규모 채택의 물결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가상화폐의 가격 변동성뿐만 아니라 ETF (exchange traded funds)를 포함한 다양한 암호화폐 상품에 대한 감독당국의 결정이 임박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산업에 유입수가 증가하는 것은 사람들이 금융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암호화폐로 눈을 돌리는 것을 말해주는 신호였습니다.

코인셰어의 디지털 자산 펀드 플로우즈 위클리(Digital Asset Fund Flows Weekly)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으로 유입된 물량의 거의 40%가 알트코인 상품에 투자되었습니다.

한편 이 보고서는 기관 자산운용사들이 현재 총 625억 달러 ($62.5 billion)의 AUM (asset under management: etf를 통해 운용되는 자산의 가치)을 보유하고 있어 5월 중순에 기록한 사상 최대치인 660억 달러에 근접한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섹터 AUM의 73%를 차지하는 그레이스케일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그레이스케일이 알트코인으로 구성된 상품 목록을 늘리는 것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첫 번째 ETF를 승인하기 전에 회사의 확장 계획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는 거의 500억 달러 ($50 billion)에 달하는 AUM을 보유한 세계 최대의 디지털 자산 관리자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자산운용사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을 기다리며 최근 단일 자산 상품 중 3개가 미국증권거래위원회에 (SEC ) 신고회사가 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기에는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캐시 트러스트[BCHG],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클래식 트러스트[ETCG] 및 그레이스케일 라이트코인 트러스트[LTCN]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들 자산은 그레이스케일의 Bitcoin [GBTC], Ethereum [ETHE] 및 Digital Large Cap Fund [GDLC]의 리그에 가입하여 정기적인 재무제표와 공시를 감독당국에 보고하고 1934년 미국증권거래위원회 (SEC) ACT에 명시된 기타 모든 요건을 준수합니다.

즉, 이제 6개 종목 모두 나스닥이나 뉴욕 증권 거래소와 같은 미국 내 증시에서 상장된 기업들에 대해 규제를 받게 될 것입니다.
이는 코인셰어 (coinshare)의 보고서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다른 암호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결과였습니다.

미국증권거래위원회 (SEC)에 보고 회사인 Grayscale의 CEO Michaell Sonnenshein에 따르면, "투자에 대해 생각할 때 일반적으로 [보고 유형]을 보는 데 익숙한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그레이스케일을 개방했습니다.."

기관들 사이의 관심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그레이스케일과 같은 자산 관리 회사들은 더 다양한 암호화폐 상품으로 이자를 챙길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기사 끝



기존의 비트코인,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비트코인캐쉬, 라이트코인, 이더리움클래식의 상승이 예상되는 기사인 것 같습니다.

기사 코인뉴스통 유튜브에서도 확인 가능

https://youtu.be/qSMLKkg1gKw

 

불장대비하는 그레이스케일 알트코인 신탁 | 도지코인 항공사 결제 |트론 상승 이유 |고래들은 BT

안녕하세요 발빠른 해외코인소식 코인뉴스통입니다. 이번 영상은 그레이스케일의 다가오는 불장 대비 알트코인 상품  (비트코인캐쉬, 이더리움클래식, 라이트코인) SEC신고 소식, (그레이스케

youtu.be



*** 중요 ***
코인뉴스 블로그는 일반인이 코인 공부 목적으로 운영하는 개인 블로그이며 해외의 코인 관련 소식을 의역한 것입니다. 코인 뉴스의 내용에 오역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 판단 근거로 절대 활용할 수 없습니다. 투자 판단 근거로 활용하기 위한 내용은 출처를 참고하여 해외 뉴스 사이트 혹은 트위터의 내용을 직접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