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I NFT, 로손엔터와 NFT 티켓 서비스 도입 예고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일본 SBI홀딩스의 NFT 계열사 SBI NFT가 16일 로손의 엔터테인먼트 회사인 LAWSON HMV 엔터테인먼트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로손티켓 NFT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콘서트, 스포츠 경기, 연극 등의 티켓을 반영구적인 NFT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SBI NFT 측은 "최근 티켓의 디지털화로 추억이 담긴 티켓을 보관할 수 없다는 점을 아쉬워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서비스 도입 배경을 설명하며 "로손티켓 NFT 서비스를 올 봄 안에 시작할 것"이라고 밝다.
https://coinpost.jp/?p=331029
리플 고위급 개발자 사직..."개인적인 이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XRP) 고위급 개발자 맷 해밀턴(Matt Hamilton)이 16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개인적인 이유로 리플 팀을 떠나게 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지난해 개인적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아내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으며, 코로나19 사태, 바베이도스로의 이민 등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 같이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었다. 그럼에도 사측은 개인적, 전문적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다만, 이제 아내의 회복을 돕기 위해 회사를 떠나야 한다는 생각이 분명해졌다. 어려운 결정이었지만, 당분간 XRP 렛저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며 리플의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u.today/top-developer-leaves-ripple-heres-why
SBI그룹 자회사, 주주들에게 XRP 선물
유투데이에 따르면 일본 금융 대기업 SBI그룹 자회사인 금융 정보 서비스 제공업체 모닝스타(Morningstar)가 주주들에게 감사의 이미로 XRP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3월 31일 기준 100주 이상 주식을 보유한 주주는 모두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100주당 2500엔(2만6000원) 상당의 XRP를 받게된다. 리플의 파트너사인 모닝스타는 지난 2019년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https://u.today/xrp-offered-to-shareholders-by-japans-sbi-for-3rd-year
美 과학기술정책국장 "디지털 자산 정책으로 포용적 금융 실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부보좌관이자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 국장인 알론드라 넬슨(Alondra Nelson)이 최근 백악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지난 9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의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정책 3대 우선과제를 발표했다. 이날 그는 암호화폐 정책에서 △금융 시스템의 공정성 및 포용적 금융 추진 △불법 금융 행위 억제 △디지털 자산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등을 3대 우선과제로 꼽았다. 이와 관련 그는 "저소득 계층이나 일부 소수 집단은 은행 서비스에서 소외되는 현실에서 디지털 자산은 수수료를 줄이고 중개자를 생략해 보다 포용적인 금융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인 디자인이 필요하며, 가격 변동성 리스크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할 방안이 수반돼야 한다. 특히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가 포용적 금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철저히 연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www.whitehouse.gov/ostp/news-updates/2022/03/09/the-path-toward-responsible-and-equitable-digital-assets-innovation/
탄소배출량 상위 5개 NFT 프로젝트, 소라레·엑시인피니티 등 포함
NFT 교육업체 NFT클럽에 따르면 탄소배출량이 많은 상위 5개 NFT 프로젝트에 소라레, 엑시인피니티, 아트블록, 더샌드박스, 크립토키티가 포함됐다. 이중 크립토키티 NFT를 생성하는 데 2.4억 킬로그램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상쇄하려면 400만그루 나무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https://nftevening.com/this-is-why-nft-projects-need-to-start-offsetting-carbon-dioxide/
네이버, 라인 넥스트와 NFT 협업…"새로운 경험 제공할 것"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네이버가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라인의 NFT(대체불가토큰) 플랫폼 자회사인 '라인 넥스트(LINE NEXT)'와 파트너십을 맺고 NFT 분야 협업을 모색한다고 17일 밝혔다. 전날 라인 넥스트는 게임, 엔터테인먼트, 아트,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 26개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NFT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을 선언한 바 있다. 네이버는 라인 넥스트에서 개발 중인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에서 네이버의 기술 및 콘텐츠를 결합, 국내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NFT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양사는 △네이버 ID 기반의 블록체인 월렛 환경 △네이버페이를 통한 NFT 결제 환경을 '도시' 플랫폼에 연내 구축 △네이버 NOW 등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분야 NFT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31709425916825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7...극단적 공포→공포 전환
코인베이스 프로, APE 상장
코인베이스가 코인베이스 프로에 APE를 익스페리멘털(experimental) 라벨로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유동성 조건 충족시 동부 표준시(ET) 기준 17일 오후 12시에 거래가 시작된다. 앞서 코인베이스는 투명성 제고를 위해 리스크 높은 자산에 익스페리멘털(experimental) 라벨을 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https://twitter.com/CoinbaseAssets/status/1504210290904375306
미 연준, 기준금리 0.25%p 상향 조정..시장 예상 부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FOMC 성명을 통해 기준 금리를 0.25%p 오른 0.25%~0.50%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의 예상과 부합한 결과다.
미 연준 "2022년 최대 7차례 금리 인상 예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FOMC 성명을 통해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적합하다"고 밝혔다. FOMC가 공개한 점도표는 2022년 최대 7차례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https://www.cnbc.com/2022/03/16/federal-reserve-meeting.html
마스크 네트워크, 인스타그램 웹버전 NFT 프로필 기능 지원
웹3 소셜 미디어 미들웨어 프로젝트 마스크 네트워크(MASK)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마스크 네트워크 2.5.2 버전에서 인스타그램 웹버전 NFT 프로필(아바타) 기능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앞서 수지 얀 마스크 네트워크 최고경영자(CEO)는 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인스타그램에 NFT 프로필 기능을 지원하는 플러그인 출시를 암시한 바 있다.
https://twitter.com/realMaskNetwork/status/1504095622349361153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3/20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마나코인 #리플xrp (0) | 2022.03.21 |
---|---|
오늘 암호화폐뉴스 3/18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마나코인 #파워렛저 (0) | 2022.03.18 |
오늘 암호화폐뉴스 3/15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마나코인 #파워렛저 (0) | 2022.03.15 |
#암호화폐뉴스 3/14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마나코인 #파워렛저 #일론머스크 (0) | 2022.03.14 |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3/12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마나코인 #파워렛저 #nft #web3 (0) | 2022.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