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일론 머스크 "SBF $1억 트위터 주식 보유는 가짜뉴스"
샘 뱅크먼 프리드(SBF) 전 FTX CEO가 1억 달러 상당의 트위터 주식을 갖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거짓'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세마포르(Semafor)는 정식 언론사도 아니다. 그만 포기하는 것이 좋다"고 부연했다. 앞서 세마포르는 23일 "일론 머스크는 지난 5월 5일 SBF에게 문자를 보내 자신의 지분 중 1억 달러 상당을 매입하라고 제안했다. 해당 메시지는 트위터가 일론 머스크의 인수 포기 선언 당시 제기한 소송 과정에서 공개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2. 디지털커런시그룹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에 $5.75억 빚졌다"
더블록에 따르면 제네시스의 모회사 디지털커런시그룹(DCG) 창업자 배리 실버트(Barry Silbert)가 주주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탈에 내년 5월 만기인 5.75억달러 상당 부채를 가지고 있다"며 "대출금은 투자 유치, DCG 주식 바이백에 사용됐으며 이번 기업간 대출은 공정 거래에 해당하며 일반 시장 금리 수준으로 책정됐다"고 밝혔다. 또한 2032년 6월 만기 11억달러 약속어음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DCG가 제네시스의 3ac 관련 손실을 떠안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외에도 3.5억달러 상당 신용 편의(credit facility: 금융사가 대출 등 다양한 형태로 신용 공여하는 것을 통칭)도 존재한다. 실버트는 "제네시스 경영진과 이사회는 투자은행 모엘리스앤컴퍼니 등을 재무 및 법률 고문으로 고용하기로 결정했으며 FTX 붕괴 여파 속에서 가능한 한 모든 옵션을 찾고 있다"며 "과거 우리는 암호화폐 겨울을 이겨냈고 이번 겨울이 유난히 더 혹독할 수 있지만 더욱 강해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블룸버그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재무제표에 28억달러 상당 미상환 대출이 있으며 이중 30%는 DCG 등 관계사에 대출해준 것으로 나타났다.
3. JP모건 애널리스트 "FTX 파산, 암호화폐 생태계에 긍정적"
스위스 미디어 파이뉴스(finews)에 따르면 JP모건 애널리스트 스티븐 알렉소풀로스(Steven Alexopoulos)가 "FTX 파산 사태는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이란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다. 이번 크립토 윈터는 오히려 암호화폐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대규모 채택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확립돼야 한다. FTX 파산이 암호화폐 회의론자들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고 있지만, 주목해야 할 점은 이번 사태가 탈중앙화 프로토콜이 아닌 중앙집중식 거래소에서 발생했다는 점이다. 또 이번 사태로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입었지만 FTX 붕괴로 암호화폐 생태계는 기존 금융권에 더 가까워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4. 바이낸스 RVN 마이닝풀 론칭
바이낸스가 레이븐코인(RVN) 마이닝풀을 론칭했다고 공지했다. 수수료는 1%다.
5. 모건스탠리, FTX발 리스크 노출 기업 63곳 목록 작성
글로벌이코노믹에 따르면 CNBC는 모건스탠리가 FTX 플랫폼에 익스포저가 있거나 있을 수 있는 기업 63곳의 목록을 작성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모건스탠리는 이 목록을 공시나 자체 연구 등을 통해 입수했다. 목록에는 대출기관, 거래자, 거래소 및 투자자가 포함돼 있다. 해당 기업 중 상장사는 19곳이며 이 가운데 15곳은 FTX발 리스크에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리스크 노출이 가장 큰 곳은 세쿼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로, 총 2.1억 달러 상당의 익스포저(노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갤럭시 디지털, 보이저, 코인베이스, 소프트뱅크 등도 자금이 묶였다. 아울러 모건스탠리는 레든, 블록파이, 앰버그룹 등도 리스크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했으나 구체적인 액수는 명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6. 유명 경제학자 "최근 사태, 2008년 서브프라임과 달라... 주택은 기본욕구"
암호화폐는 충족되어야 하는 인간의 기본욕구가 아니다"라며 "가격에 대한 추측이 암호화폐 업계의 유일한 수입원이다. 이것이 약세장에서 핵심 펀더멘탈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7. 외신 "바이낸스, 제네시스 투자 거절...이해충돌 탓"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디크립트가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최신 보도를 인용 "바이낸스가 DCG 산하 암호화폐 브로커 제네시스 글로벌의 신규 투자 제안을 거절한 것은 향후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이해충돌 가능성 때문"이라고 22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WSJ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최근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제네시스는 바이낸스의 대출장부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바이낸스가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네시스는 지난주 1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자금 조달을 추진할 때 대형 사모펀드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와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더블록을 인용 "파산 위기에 놓인 제네시스 트레이딩이 10억 달러 규모의 기존 자금 조달 목표액을 5억 달러로 하향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8. 일본 중앙은행, 내년부터 은행 3곳과 디지털 엔 파일럿
9. 뉴욕주 법무장관, 퇴직연금 암호화폐 투자 금지법 제안
10. 애플, 빅쇼트 원작자 집필 'SBF 서적' 판권 매입 시도
11. 더샌드박스, 11월 24일부터 신규 토지 NFT LAND 판매 진행
12. 싱가포르 암호화폐 펀드, $1000만 웹3 펀드 조성
13. 코인베이스 "암호화폐 기관투자자 62%, 올해 암호화폐 투자 비중 늘렸다"
14. 외신 "엘살바도르 정부, 암호화폐 발행 관련 규제법 제정 추진"
출처: 코인니스, 기타 사이트
반응형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11/25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pr (0) | 2022.11.25 |
---|---|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11/14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pr (0) | 2022.11.24 |
코인 뉴스 하이라이트 11/22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0) | 2022.11.22 |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11/21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0) | 2022.11.21 |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11/18 #비트코인 #도지코인 #이더리움 #리플xpr (0) | 2022.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