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메타버스 회의론에 동의
-일론 머스크, 트위터 NFT 프로필 사진 기능 도입 비판
-스테이블코인 DAI, 일본 최초 상장 예정
-디비전 메타버스, 27일 폴리곤과 오픈씨에서 2차 랜드세일 진행
-24시간 동안 7억달러 이상 선물 포지션 강제청산
-런던 상장 핀테크 회사 렌드인베스트 공동 설립자, 텍사스에 암호화폐 채굴장 설립 계획
-외신 "러 중앙은행, 암호화폐 보유 금지 제안한 적 없다"
-FTX, 암호화폐 계정 연동 비자카드 출시
-前 코인베이스 임원, a16z CMO로 복귀
-리서치 "미국 암호화폐 투자자, DOGE 선호도 가장 높아
-엘살바도르, 중소기업 대상 저금리 비트코인 담보 대출 출시 검토
-솔라나 게임파이 배틀몬스터, 세콰이아·FTX 전략투자 유치
-1인치 네트워크, 아발란체·그노시스 체인 도입
-분석 "오늘 비트코인 하락, 데리비트 풋옵션 만기 영향일 수도"
-분석 "최대 1억달러 롱포지션 추가 강제청산 가능성, 하락세 깊어질 수도"
-서베이 "미국인 61%, 올해 암호화폐 구매 의사 있다"
-ADA, 카르다노 전용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플루투스(Plutus)의 스크립트 메모리 단위를 125만으로 증가하는 플루투스 업데이트 실시... 25일 적용 예정
-美 SEC, 스카이브릿지 BTC 현물 ETF 승인 신청 반려
-서베이 "미 금융회사 고위인사 92%, 3년 내 블록체인 기술 전면 도입"
-외신 "메타, 페이스북·인스타 프로필에 NFT 연동 기능 출시 예정...NFT 마켓 출시 논의"
-CNBC 유명 진행자 "DOGE, 증권 성격...규제 조심하라"
-정부 '14조 원 추경' 확정… 김 총리 "국회, 조속한 처리 요청"
-라울 팔 "1 BTC만 보유 중...BTC 커뮤니티 포용력 없어"
-아디다스 오리지널-프라다, 폴리곤 기반 NFT 발행 예정
-0.01 BTC 이상 보유 주소 수 역대 최다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보유량, 지난 24시간 35 BTC 감소
-월가 저명 투자자 "가상화폐·NFT 투기 열풍, 거품 후기 단계 상징"
-피터 시프 "올 들어 BTC 18% 하락, 금보다 수익률 저조"ㅎㅏ다 말해
-상위 10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ETH·MATIC 순 매집
-카르다노 기반 DEX 선데이스왑, 오늘 정식 출시..."너무 느려" 사용자 불만 잇따라
*주요뉴스 자세한 내용
-일론 머스크, 메타버스 회의론에 동의
플레이스테이션의 아버지 쿠타라기 켄이 최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메타버스, VR 헤드셋에 대해 회의론을 표했다. 익명게시판과 본질적으로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해당 기사 내용에 동의하며 "위대한 지혜(Great wisdom)"라고 코멘트했다. 일론 머스크는 앞서 웹3는 현실보단 마케팅 유행어에 가깝다고 지적했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위터의 NFT 프로필 사진 기능 도입에 대해 "짜증난다"고 비판했다. 머스크는 "암호화폐 사기꾼들이 스레드마다 스팸봇 블록 파티를 열고 있는 동안 트위터는 이런 것(NFT 프로필)에나 엔지니어링 리소스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비트코인 가격, 바닥 가까워졌다"
비트코인 RSI(상대강도지수) 지표에 따르면 가격이 바닥에 가까워졌다고 유투데이가 블룸버그 분석을 인용해 보도했다. 비트코인 RSI는 30-40 구간에 진입했다. RSI가 40 미만이면 과매도 상태다. 다만 메이저 암호화폐들의 RSI는 1월 초부터 과매도 상태였다고 미디어는 덧붙였다.
-중국 주요 실시간 데이터·속보 플랫폼 진스에 따르면, 20일 러시아 중앙은행이 "러시아 정부에 암호화폐 보유 금지 조치를 제안한 적 없으며, 정부와 암호화폐 채굴 금지에 대한 논의도 진행된 바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 러시아 중앙은행 측은 "오는 3월 1일까지 암호화폐 규제와 관련해 이해관계자 및 대중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코인데스크 등 복수의 미디어는 러시아 중앙은행 금융안정성 부문이 발표한 '암호화폐: 트렌드, 리스크, 조치' 보고서를 인용 "러시아 중앙은행이 암호화폐를 전면 금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외신에 따르면 오늘 비트코인 하락의 원인이 데리비트(Deribit) 내 행사가 39000달러 풋옵션 만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오늘 데리비트에선 약 5.38억달러 규모 비트코인 옵션계약이 만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코 리서치(Kaiko Research)에 따르면 2022년 연준의 4차례 금리 인상 전망이 설득력을 얻은 이후 비트코인과 나스닥100, S&P 500 간의 30일 상관계수가 17개월 최고치로 상승했다. 인투더블록에 따르면 이더리움-나스닥 30일 상관계수 또한 0.86으로 상승했다. Macrodesiac.com의 설립자이자 트레이딩뷰 UK 성장 이사 David Belle은 "올해 연준은 기준금리를 5회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코인데스크에 말했다. CEC 캐피털 크립토 ETF 전문가이자 이사 로랑 크시스는 "기관의 자금 유입은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다. 또 선물 시장 데이터가 더 많은 롱포지션 강제청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단기 전망은 어둡다. 하락세가 더 깊어질 수 있다. 아직 1억달러 상당 롱포지션이 열려 있다. 이중 절반은 비트멕스(BitMEX) 거래소에 있다"고 진단했다.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1/23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0) | 2022.01.23 |
---|---|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1/22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암호화폐뉴스 #코인뉴스 #코인뉴스통 (0) | 2022.01.22 |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1/20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파워렛저 (0) | 2022.01.20 |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1/19 #비트코인 #이러리움 #도지코인 (0) | 2022.01.19 |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1/18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0) | 2022.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