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9/7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by 코뉴 2022. 9. 7.
반응형

2022년 9월 7일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1. 월스트리트 투자 은행 "암호화폐 상승을 촉발할 예상 시나리오 7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월스트리트 투자 은행 번스타인(Bernstein)이 암호화폐 상승을 촉발할 수 있는 7가지 예상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1)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 성공 - 긍정적인 시장 촉매제가 될 것

 

2) 확장성 솔루션 롤업의 성장 - 옵티미즘, 아비트럼의 트랜잭션 이더리움 전체의 최대 25% 차지 中
3) 이더리움 시총 비트코인 추월 - 거시 경제 의존 자산 클래스가 아닌 혁신 중심의 암호화폐 생태계 구축
4) 디파이 시장 재유행 - 레이어2 확장성으로 인한 디파이 수수료 절감
5) NFT 프로젝트의 게임으로의 피벗과 'Play 2 Own' 모델의 유행 - 100만개 이상 NFT 아바타의 다수 게임 내 상호운용
6) 토큰이코노믹스 재설계 - 밈이 아닌 가치 성장에 초점을 맞춘 토큰 이코노믹스 설계
7) 프로토콜이 아닌, 응용 서비스에 대한 리테일 관심 확대 - 확장성, 더 나은 이용자 환경, 향상된 토큰 가치, 응용서비스 투자에 대한 관심으로 인한 응용 서비스 단에서의 롱테일 효과
 
2. 분석 "거시+머지 이벤트로 단기 변동성 커질 전망"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아케인 리서치 분석가들은 수요일(현지시간) "9월 8일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준금리를 발표하고, 9월 13일 미국 8월 CPI 데이터가 나오면서 암호화폐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ECB는 이번주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가들은 "이러한 거시 이벤트는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 이벤트와 결합돼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 카르다노 창시자 "거시적 요인보다 기술에 초점 맞춰야"
카르다노(에이다, ADA) 창시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오늘 오전 트위터를 통해 "지금의 암호화폐 시장은 현실과 단절돼 있다. 카르다노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했고, 다른 여러 프로젝트도 탄탄했지만 이는 반영되지 못했다. 거시적 요인이 항상 승리한다. 하지만 우리는 기술의 진짜 목적에 항상 초점을 맞춰야 한다. 기술이 해결하는 문제, 이전엔 불가능했던 새로운 경험들 말이다. 카르다노는 세상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4. 블룸버그 "507 캐피털 설립자, 마운트곡스 청구권 매입해 18배 수익 예상"
 
5. BTC 채굴업체 비트나일, 비트메인 채굴기 1,325 대 추가 발주
 
6. 카르다노 "바실 하드포크 이후 CIP 도입..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개선"
 
7. 푸틴 "달러·유로·파운드 사용량 줄였다.. 신뢰 손상"
 
8. 영국 금융감독청 "인플루언서 암호화폐 투자 조언 주의해야"
 
9. 코인텔레그래프, "엘살바도르 BTC 법화 채택 1주년...가격 떨어졌지만 실패는 아냐"
 
10.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난센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 전날 커브·컨벡스서 450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 출금"
 
11. 인도 중앙은행 부총재 "연내 CBDC 파일럿 프로젝트 출범"
 
12.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 "연준, 경제·위험자산 심각하게 무너뜨릴 것"
블랙록은 "연준이 인플레이션 해소와 경제 성장 사이의 균형점을 맞출 마음이 없어 보인다"면서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과정에서 시장이 무너지고 위험 자산이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13. 런던 기반 헤지펀드 윈튼그룹, 암호화폐 전문가 채용 중
 
14. 크라켄 임원 "이더리움 머지 후 비트코인 에너지 소비량 지적 공격 사례 늘 듯"
 
15. 478 BTC 이체... 코인베이스 → BTC 3위 고래
 
16.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4... 극단적 공포 지속
 
NFT, 메타버스, web3소식
 
17. 지난달 BAYC 구매자 수 263명.. 16개월래 가장 적어
 
18. 코인게이프, "리플 소송 '힌먼 연설' 공개 여부 판결, 시간 걸릴 것"
 
출처: 코인니스, 기타 사이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