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bvFRVT/btrMbzpLQVn/j3kfuIXRF7xA7r2jTF6zz1/img.jpg)
1. 미 디지털상공회의소, SEC-리플 소송 관련 의견서 제출 신청
유투데이에 따르면 주요 암호화폐 로비그룹인 워싱턴 소재 디지털 상공회의소(Chamber of Digital Commerce)가 XRP 증권 여부 문제를 둘러싸고 법정 공방 중인 리플-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 간 소송에 관한 법정조언자(amicus curiae) 의견서 제출을 위해 법원에 허가를 신청했다. 디지털 상공회의소는 "SEC-리플 소송은 법원이 디지털자산의 법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판례를 제시할 수 있는 기회"라며 "우리는 정책 입안자들이 명확하고 일관된 규정을 내놓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다만, 상공회의소는 리플이나 SEC 중 한쪽 편을 드는 게 아닌, 중립적 입장을 견지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앞서 상공회의소는 2020년 SEC와 텔레그램 간 소송에서도 의견서를 제출한 바 있다.
2. 외신 "ETH 선물 백워데이션, 머지 후 사라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이더리움(ETH) 머지(PoS) 발생 후 ETH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 사이의 백워데이션(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낮은 시장) 현상이 거의 사라졌다"고 진단했다.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스큐(Skew)에 따르면, 세계 최대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내 ETH 선물 월물 시세와 현물 간 가격차는 머지 전 17.66%에서 머지 후 0.3%로 좁혀졌으며, 크라켄, OKX, CME 등에서 거래되는 ETH 선물의 백워데이션도 상당 부분 해소됐다. 바이낸스 등 주요 거래소에서의 3개월물 선물도 백워데이션이 해소되거나 현물과의 가격차가 상당 부분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역조시장) 선물(先物)가격이 미래 현물(現物)가격보다 낮게 이루어지는 시장.
3. 이더리움 머지 업그레이드 활성화.. PoS 전환
이더리움 실행 레이어(메인넷) 누적 난이도(TTD)가 한국시간 기준 9월 15일 15시 43분 경 5875000000000000000000에 도달하며 머지 트리거가 촉발됐다. 이는 머지 2단계로, PoW(작업증명)에서 PoS(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더리움 재단은 PoS 전환에 따라 이더리움 네트워크 에너지 사용량을 약 99.95%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이 수정될 수 없는 완결성(finality)이 달성돼야 머지의 성공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데, 머지 후 약 13~15분 후에 네트워크 완결성을 확인할 수 있다.
*TTD 도달 여부는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가 직접 공유한 TTD 카운트다운 사이트인 bordel.wtf를 참고
4. 카르다노 창시자 "잭 도시 PoS 공격, 모든 PoS 일반화 안돼"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 카르다노(에이다, ADA) 창시자가 15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잭 도시의 지분증명(PoS) 공격 트윗으로, 사람들은 모든 지분증명 네트워크가 이더리움처럼 작동한다고 가정할 것"이라며 모든 지분증명 네트워크를 일반화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이제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들은 카르다노를 공격할 때 모든 이더리움의 문제점들을 우리에게 덮어씌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잭 도시 트위터 공동 창업자는 유명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 스콧 설리번의 블로그 아티클을 트윗 상에 공유하며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5. 잭도시 "작업증명 체인만이 올바른 시스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트위터 전 CEO 잭도시가 이번 이더리움(ETH) 머지(PoS전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잭도시는 비트코인(BTC) 맥시멀리스트 스콧설리번(Scott Sullivan)의 게시물을 공유하며, 이더리움은 가치가 없는 코인이고 비트코인과 있을 내러티브 전쟁에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했다. 설리번은 토네이도캐시의 검열 문제를 예로 들며, 지분증명(PoS) 기반은 중앙집중화 문제가 존재하기에 작업증명(PoW) 기반이 유일하게 올바른 시스템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6. 월가 투자은행 번스타인 "이더리움, 머지 성공으로 제도권 편입 가속화 기대"
7. ETC 네트워크 해시레이트 지속 상승 추세... 전날 대비 3배 이상 올라
8. 사토리리서치 창업자 "ETH 시세, 머지 성공 반영됐다"
9. 금감원장, “루나 증권성 여부 관련 금감원 입장 검찰에 전달”
10. 레이븐코인 해시레이트, 일주일 전보다 203%↑...이더리움 머지 영향
11. 토큰화 자산 거래 기업 오너라, 2,000만 달러 투자 유치...JP모건 참여
12. 상하이 검찰 "암호화폐, 법정화폐 아니지만 재산으로 간주"
13.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8... 투심개선
14. 이더리움 머지 전 마지막 블록, 中 채굴풀 F2Pool이 채굴
15. 업비트, 머지 블록 생성 시점에 ETHW 에어드랍 스냅샷
업비트가 ETHW 에어드랍 스냅샷 시점은 이더리움 머지 블록 생성 시점이라고 공지했다.
출처: 코인니스, 기타 사이트
반응형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9/19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0) | 2022.09.19 |
---|---|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9/16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0) | 2022.09.16 |
오늘 코인뉴스 하이라이트 9/14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0) | 2022.09.14 |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9/7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0) | 2022.09.07 |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9/6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0)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