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래소 이더리움 보유량, 3개월래 최대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거래소 이더리움 보유량이 3개월 최대치인 14,795,397.786 ETH를 기록했다.
*분석 "주류 자금, 리스크 회피 수단으로 비트코인 택할 가능성 낮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포심리가 확대된 가운데, OKX 소속 애널리스트 자오웨이는 작년 1월 이후 최고치로 치솟은 금과는 달리 비트코인은 하락한 이유를 분석했다.
-비트코인은 리스크가 비교적 높은 자산이다. 당분간은 이 같은 일촉즉발 정세에서 주류 자금이 리스크 회피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다수 메이저 기관과 상장사가 크립토 시장에 진출하면서 비트코인-나스닥 상관계수가 지속 상승 중이다. 러-우크라 국면 악화로 러시아, 미국 증시 모두 타격을 받자 비트코인도 덩달아 타격을 받고 있다.
-최악의 경우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계속해서 감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단,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웨일스탯에 따르면 상위 10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한국시간 24일 오후 6시 반 기준,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 ETH, MATIC이고, 스테이블 코인들의 매집양이 크다.
*NYT "러시아, 미 제재 무력화 위해 암호화폐 이용 가능성"
러시아 당국과 기업들이 미국 등 서방의 제재 무력화를 시도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도구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제재를 회피할 수 있는 여러 암호화폐 관련 도구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달러를 사용하지 않고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만 하면 된다는 것. 암호화폐 거래는 블록체인에 의해 투명하게 공개되지만, 러시아는 거래의 추적을 어렵게 하는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러시아 중앙은행 관계자들은 지난 2020년 10월 모스크바의 한 신문에 디지털 루블은 러시아가 미국에 덜 의존하게 만들고 제재에 더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이미 중앙은행이 자체 디지털 화폐를 출시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러시아와의 거래에 "한계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제재를 받은 러시아 기업들은 랜섬웨어 공격을 이용하여 제재 회피 전략을 전개할 수도 있다.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전 세계 랜섬웨어 수익의 약 74%에 해당하는 4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페가 러시아와 연관된 법인에게 돌아갔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3...극단적 공포
-SM엔터 계열사, 더 샌드박스와 MOU 체결
*그레이스케일 CEO "1순위 과제, BTC 현물 ETF 승인"
비트코인 매거진 트위터 채널이 마이클 소넨샤인 그레이스케일 CEO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계획은 BTC 현물 ETF 승인"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은 최근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촉구하기 위한 첫 캠페인을 시작했다.
*2026년 글로벌 핀테크 블록체인 시장 87억 달러 규모 예상
야후 파이낸스가 글로벌 인더스트리 애널리스트사(GIA) 보고서를 인용, 2026년까지 글로벌 핀테크 블록체인 시장 규모가 87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해당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변화된 시장 속에서 글로벌 핀데크 블록체인 시장이 13억 달러(2022년)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2026년에 해당 수치는 87억 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GIA는 "글로벌 핀테크 블록체인 시장의 성장은 비트코인을 보유 및 투자하려는 소비자 수요 증가세와 같은 요인에 기인한다"고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거래소 창업자 "정부도 은행도 믿을 수 없다... 암호화폐가 피난처"
우크라이나 암호화폐 거래소 쿠나(Kuna) 창업자인 마이클 초바니안(Michael Chobanian)이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지정학적 혼란 속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이 안전 피난처로 암호화폐를 찾고 있다. 그러나 테더의 USDT는 공급이 제한돼 있고 이에 따라 프리미엄이 상당히 올라간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인들은 현금을 없애고 싶어한다. 지금 이곳에서 현금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우리는 정부도, 은행 시스템도, 현지 통화도 믿지 않는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인터넷과 전체 은행 시스템이 무너지는 것이다. 암호화폐가 안전 피난처가 될 수 있다. 암호화폐 외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며 "많은 사람이 현금을 USDT로 교환한 후 이를 BTC나 ETH 등으로 바꾸고 있다. 문제는 USDT 공급이 제한돼 프리미엄이 크게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방안보위원회는 친러 반군이 통제 중인 동부 돈바스 지역을 제외한 전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코인베이스 프로, ALICE 상장
코인베이스가 코인베이스 프로에 MyNeighborAlice(ALICE)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유동성 조건 충족시 태평양 표준시(PT) 기준 24일 9시에 거래가 시작된다.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거래소 이더리움 보유량이 3개월 최대치인 14,795,397.786 ETH를 기록했다.
*분석 "주류 자금, 리스크 회피 수단으로 비트코인 택할 가능성 낮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포심리가 확대된 가운데, OKX 소속 애널리스트 자오웨이는 작년 1월 이후 최고치로 치솟은 금과는 달리 비트코인은 하락한 이유를 분석했다.
-비트코인은 리스크가 비교적 높은 자산이다. 당분간은 이 같은 일촉즉발 정세에서 주류 자금이 리스크 회피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다수 메이저 기관과 상장사가 크립토 시장에 진출하면서 비트코인-나스닥 상관계수가 지속 상승 중이다. 러-우크라 국면 악화로 러시아, 미국 증시 모두 타격을 받자 비트코인도 덩달아 타격을 받고 있다.
-최악의 경우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계속해서 감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단,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웨일스탯에 따르면 상위 10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한국시간 24일 오후 6시 반 기준,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 ETH, MATIC이고, 스테이블 코인들의 매집양이 크다.
*NYT "러시아, 미 제재 무력화 위해 암호화폐 이용 가능성"
러시아 당국과 기업들이 미국 등 서방의 제재 무력화를 시도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도구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제재를 회피할 수 있는 여러 암호화폐 관련 도구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달러를 사용하지 않고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만 하면 된다는 것. 암호화폐 거래는 블록체인에 의해 투명하게 공개되지만, 러시아는 거래의 추적을 어렵게 하는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러시아 중앙은행 관계자들은 지난 2020년 10월 모스크바의 한 신문에 디지털 루블은 러시아가 미국에 덜 의존하게 만들고 제재에 더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이미 중앙은행이 자체 디지털 화폐를 출시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러시아와의 거래에 "한계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제재를 받은 러시아 기업들은 랜섬웨어 공격을 이용하여 제재 회피 전략을 전개할 수도 있다.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전 세계 랜섬웨어 수익의 약 74%에 해당하는 4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페가 러시아와 연관된 법인에게 돌아갔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3...극단적 공포
-SM엔터 계열사, 더 샌드박스와 MOU 체결
*그레이스케일 CEO "1순위 과제, BTC 현물 ETF 승인"
비트코인 매거진 트위터 채널이 마이클 소넨샤인 그레이스케일 CEO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계획은 BTC 현물 ETF 승인"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은 최근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촉구하기 위한 첫 캠페인을 시작했다.
*2026년 글로벌 핀테크 블록체인 시장 87억 달러 규모 예상
야후 파이낸스가 글로벌 인더스트리 애널리스트사(GIA) 보고서를 인용, 2026년까지 글로벌 핀테크 블록체인 시장 규모가 87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해당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변화된 시장 속에서 글로벌 핀데크 블록체인 시장이 13억 달러(2022년)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2026년에 해당 수치는 87억 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GIA는 "글로벌 핀테크 블록체인 시장의 성장은 비트코인을 보유 및 투자하려는 소비자 수요 증가세와 같은 요인에 기인한다"고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거래소 창업자 "정부도 은행도 믿을 수 없다... 암호화폐가 피난처"
우크라이나 암호화폐 거래소 쿠나(Kuna) 창업자인 마이클 초바니안(Michael Chobanian)이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지정학적 혼란 속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이 안전 피난처로 암호화폐를 찾고 있다. 그러나 테더의 USDT는 공급이 제한돼 있고 이에 따라 프리미엄이 상당히 올라간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인들은 현금을 없애고 싶어한다. 지금 이곳에서 현금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우리는 정부도, 은행 시스템도, 현지 통화도 믿지 않는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인터넷과 전체 은행 시스템이 무너지는 것이다. 암호화폐가 안전 피난처가 될 수 있다. 암호화폐 외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며 "많은 사람이 현금을 USDT로 교환한 후 이를 BTC나 ETH 등으로 바꾸고 있다. 문제는 USDT 공급이 제한돼 프리미엄이 크게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방안보위원회는 친러 반군이 통제 중인 동부 돈바스 지역을 제외한 전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코인베이스 프로, ALICE 상장
코인베이스가 코인베이스 프로에 MyNeighborAlice(ALICE)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유동성 조건 충족시 태평양 표준시(PT) 기준 24일 9시에 거래가 시작된다.
반응형
'오늘코인뉴스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2/26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 (0) | 2022.02.26 |
---|---|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2/25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파워렛저 #마나코인 (0) | 2022.02.25 |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2/23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파워렛저 (0) | 2022.02.23 |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2/22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파워렛저 (0) | 2022.02.22 |
오늘 암호화폐뉴스 하이라이트 2/21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xrp #파워렛저 (0) | 2022.02.21 |
댓글